블로그 이미지
안녕1999

카테고리

전체 (3067)
자바스크립트 (20)
안드로이드 (14)
WebGL (4)
변비 (17)
정치,경제 (35)
C언어,ARM (162)
컴퓨터(PC, Note Book, 윈.. (41)
전자회로, PCB (27)
유머,안웃긴,GIF,동영상 (118)
국부론60 (71)
모듈(PCB) (3)
건강 (2)
FreeCAD (25)
PADS (43)
퇴직,퇴사,구직,취업 활동 (3)
C# (86)
엑셀 (8)
워드 (0)
LabView (6)
레고 (30)
FPGA (0)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차동증폭4.zip


ADC입력은, 싱글엔디드 입력(single-ended-input)과 디퍼랜셜 입력(differential input. 차동신호 입력)이 있다. differential input은, 2개의 입력신호가, 서로 180도 위상을 가진 형태이다. 쉽게 말해, 정산인 신호, 뒤집어진 신호, 2개가 입력되는 모양. "차동입력"이라고도 한다. differential input방식은 두 신호의 차이를 사용한다. 따라서, 485/422통신과 마찬가지로, 주변 노이즈에 매우 강하다. 노이즈가 많거나, 장거리 전송시 필수이다. 일반 마이크 케이블이 3선식인데, 바로 차동입력방식이기 때문에, 비교적 먼 거리에서도, 노이즈영향이 적다. XLR콘넥터라고하는 3핀 콘넥터를 사용한다. Hot, Cold, GND 서론은 대충하고, 본론은 ADC입력에, 차동입력을 넣으면, 약 6dB더 좋아진다. 그런데, CPU에 달린 ADC는 CPU핀이 부족하기에, 차동입력으로 2개의 핀을 할당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발생한다. 이때, 차동증폭회로를 구성하여, 싱글엔디드로 입력해주면, 6dB향상이 있을까하는것이다.

물론, 그냥 단순하게 생각하면, 6dB된다. 아래는 +5,-5V 양전원을 사용하는 차동증폭회로이다. 아랫쪽 op-amp는 테스트를 위해, 입력신호를 반전시켜주는 반전증폭회로이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주파수 분석을 위해서는, 1개의 신호원만 가능한 제약이 있어 추가한것)

출력신호는 VF1이고, 입력신호보다 2배 커진것을 알 수 있다. 2배=6dB



ADC입력전에 차동증폭 op-amp를 사용하여, ADC핀 1개에 single-ended로 넣어주어도, 신호의 크기가 동일하다.

(반전된것은, 차동증폭이 반전회로이기 때문이다. 차동증폭회로의 입력신호를 바꾸어주면. 간단하게 해결된다.)


차동증폭회로를 구성하여 ADC입력핀 1개로 넣어주어도, 큰 손해는 없으나, op-amp및, op-amp전원회로가 추가되야하는 부담이 있고, op-amp를 거치면서, 약간의 손실이 발생한다.

그러나, 칩내부의 ADC 전단에서 differential로 받아야, 전원노이즈등에 대해서 6dB가 가능하다.

또한, single-ended-input은 차동증폭으로 2배의 신호를 ADC에 넣을 수 없다.

차동증폭으로, 차동증폭회로 전단까지의 노이즈만 이득을 볼 뿐, ADC입력은 differential에 비해 -6dB가 된다.


요약 : 가능하면, differential로 입력하는것이 좋다.

6dB는 SNR, Total harmonic distortion(THD), dynamic range, 유효 ADC비트수와 관련이 있다.


Posted by 안녕1999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